반응형

블로그 13

SNS를 할 바엔 블로그를 해라

제목이 너무 자극적인가요? 네 뭐 사실 저도 SNS를 합니다. X(트위터)에 가끔 글을 올리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올린 글을 보기도 하고요, 인스타그램에 들어가서 세상 즐겁게 사는 사람들을 구경하기도 하고, 멋지고 예쁜 사람들을 구경하기도 합니다. 페이스북에 들어가서 친구들이 살아가는 모습도 구경하고요. 하지만, 이 모두를 하는 데 쓰는 시간은 일주일에 1시간 정도 수준입니다. 주위를 보면 이런 SNS에 하루 종일 매달려서 지내는 사람들을 종종 발견합니다. 특히 게임을 하지 않는 분들일수록 SNS에 사용하는 시간이 더 큰 거라 예상합니다. 물론 유튜브를 끼고 사시는 분들도 많을테고, 넷플릭스 등의 OTT를 끼고 사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죠. 하지만, 이제부터는 그런 시간 중 일부를 블로그를 하는 데 써..

생산성 2023.11.06

블로그를 잘 키우는 방법

블로그를 시작하는 사람이 100명이면 그만두는 사람이 99명이다.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블로그판에 20년 넘게 발을 담그고 지켜본 경험을 볼 때 체감되는 숫자다. 물론 많은 반박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만, 숫자는 상징이라고 생각해주길 바란다. 그만큼 많은 사람이 시작은 했으나 결국 포기하게 된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면 왜 그렇게 많은 사람이 시작하고 또 대다수는 왜 버티지 못하고 포기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해보여고 한다. 블로그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생각은 대체로 비슷하다. 짜투리 시간을 활용해서 글을 쓰고, 그 결과로 마르지 않는 샘물과 같은 평생 수입원을 얻길 희망한다. 이런 희망적인 생각의 씨앗은 이미 성공한 블로거들의 경험담, 서점에 널려있는 책들, 강의팔이를 위..

블로그 2023.11.04

블로그 부업, 어디까지 해봤니?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로 제2의 수입원을 마련하겠다거나, 노후대비를 위한 파이프라인을 만들겠다거나 하는 구상 혹은 망상을 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나 또한 그런 사람 중 하나다. 나도 제2의 수입원 혹은 회사를 자의든 타의든 언젠가는 회사를 그만두는 날은 분명 찾아온다. 이건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일이 아니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이다. 그럼 그런 날이 오면 나는 어떤 경로를 통해서 수입을 발생시킬 것인가? 물론 국민연금이라는 게 있어서 최소한의 안전판이 되어주겠지만, 국민연금 수령액으로는 정말 최소한의 생계유지만 가능한 수준일 것이고 나의 삶의 질은 점점 낮아지게 될 것이다. 단 한번뿐인 인생을 생존을 목표로 살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굶어죽지 않고 길거리에서 노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

생산성 2023.10.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