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기업의 영업이익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글로는 에비-따 정도로 읽으면 됩니다.
1. EBITDA 뜻과 계산 방법
EBITDA는 이자(Interest), 세금(Taxes), 감가상각비(Depreciation), 무형자산 상각비(Amortization)를 제외한 영업 수익을 의미합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EBITDA = 영업이익(EBIT) + 감가상각비(Depreciation) + 무형자산 상각비(Amortization)
또는,
EBITDA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단, 감가상각비 제외)
즉, 기업이 금융 비용(이자)과 세금 부담, 그리고 회계적 감가상각을 제외하고 실제로 벌어들이는 돈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 EBITDA를 사용하는 이유
- 기업의 실제 수익 창출 능력을 평가
- 감가상각비는 기업의 자산 가치 감소를 반영하는 회계적 비용일 뿐, 실제 현금 유출이 발생하지 않음.
- 다른 기업과 비교할 때 유용
- 업종별로 감가상각과 세금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EBITDA를 사용하면 기업 간 비교가 더 공정해짐.
- 부채 구조와 관계없이 기업의 성과를 측정 가능
- 금융비용(이자)과 세금을 제외하기 때문에, 부채 비율이 다른 기업 간 비교에도 유리함.
3. EBITDA의 한계점
- 순이익과 다름 → 실제 현금흐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CAPEX(설비 투자 비용) 반영 안 됨 → 기업이 자산을 유지하거나 확장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지 않음.
- 부채와 금융 비용을 무시 → 부채가 많아도 EBITDA가 높을 수 있어 재무적 위험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음.
4. 결론
EBITDA는 기업의 실질적인 영업 성과를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지만, 현금 흐름이나 부채 상황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재무 분석이 필요합니다. EBITDA만 보고 기업 가치를 판단하면 착시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영업이익(EBIT), 순이익(Net Income), 잉여현금흐름(FCF) 등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장, 대반전은 올 것인가? - 도지코인, 트럼프 관세, 그리고 시장의 숨겨진 변수들 (2) | 2025.04.01 |
---|---|
2025년 2월 20일, 주요 경제 뉴스 요약 (2) | 2025.02.20 |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점 완벽 정리 (1) | 2025.02.03 |
사업계획을 처음 하는 당신을 위한 선배의 조언 (0) | 2024.09.27 |
신용도 관리 꿀팁 100% 정리 (5)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