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례 절차 용어 총정리
1. 장례 전반
용어 뜻 비고
장례(葬禮) | 고인을 보내는 절차 전체 | 3일장을 기준으로 함 |
상례(喪禮) | 장례와 관련된 예절과 의식 | 유교식 장례 예절 포함 |
상(喪)을 당하다 | 가족의 사망을 겪다 | 일상 표현 |
상중(喪中) | 장례 기간 또는 49일 전후 | ‘지금 상중입니다’ 등 사용 |
2. 절차별 용어
단계 용어 설명
임종 | 임종 |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
안치 | 안치 | 시신을 빈소에 모심 |
입관 | 입관(入棺) | 시신을 관에 넣는 의식 |
염습 | 염습 | 시신을 씻기고 수의로 단장 |
발인 | 발인(發靷) | 장지로 시신을 옮기는 출발 의식 |
운구 | 운구 | 관을 운반함 |
하관 | 하관 | 관을 무덤에 묻는 행위 |
매장 | 매장 | 땅에 묻음 |
화장 | 화장(火葬) | 시신을 소각하여 장례하는 방식 |
납골 | 납골(納骨) | 유골을 납골당 등에 모심 |
천도재 | 천도재 | 불교에서 고인을 극락으로 보내는 의식 |
제례 | 제례 | 제사 의식 전반 |
3. 상복 및 상징
용어 뜻 비고
수의(壽衣) | 고인이 입는 마지막 옷 | 일반적으로 하얀색 한복 형태 |
상복(喪服) | 상주가 입는 옷 | 검정 정장, 전통 상복 등 |
근조(謹弔) | 삼가 조의를 표함 | ‘근조 리본’, ‘근조 화환’ 등 사용 |
완장 | 상주가 팔에 두르는 띠 | 보통 검정색에 하얀 글씨 |
명정(銘旌) | 고인의 이름이 적힌 깃발 | 발인 행렬 앞에 세움 |
조문·조의금·애도 관련 용어
1. 조문 관련
용어 뜻 비고
조문(弔問) | 빈소에 찾아가 문상하는 것 | '조문객'은 조문하러 온 사람 |
문상(問喪) | 죽음을 위로하는 방문 | 조문과 같은 의미로 쓰임 |
조위 | 조의를 표함 | 문상이나 위로 전반 의미 포함 |
헌화 | 국화 등을 바치는 행위 | 조문 시 고인에게 꽃을 바침 |
분향 | 향을 피워 고인께 예를 올림 | 종교와 관계없이 많이 사용 |
2. 조의금 관련
용어 뜻 비고
조의금 | 애도의 뜻으로 전하는 돈 | 조문 시 전달 |
부의금 | 부고에 대한 위로로 전하는 돈 | 조의금과 같은 의미 |
부의(賻儀) | 부고에 대해 예를 갖춘 행위 | 한자어 표현, 공식 문서에 자주 사용 |
조의록 | 조문 시 이름을 적는 장부 | 조문객 리스트 작성용 |
3. 애도 표현
문구 용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가장 일반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 |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 | 형식을 갖춘 조문 |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 기업/단체 부고문 등에서 사용 |
평안히 잠드소서 | 부드러운 감성 표현 |
하늘의 부름을 받아 가셨습니다 | 기독교식 부고에 자주 사용 |
부디 고인을 편안하게 보내시는 데 이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세, 소천, 영면, 타계, 서거, 운명 등 용어 총정리 (1) | 2025.04.02 |
---|---|
수면내시경 헛소리하는 이유 (1) | 2025.04.01 |
참칭 뜻, 의미, 사용법 (1) | 2025.03.15 |
물건 버리는 방법 (1) | 2025.03.14 |
화이트데이 직장 동료 사탕 초콜릿 선물 (2)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