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독후감 – 상처의 기억 위에 피어나는 인간의 존엄
‘인간이 인간에게 할 수 있는 일의 끝은 어디인가.’
『소년이 온다』를 읽고 난 뒤 머릿속에서 이 문장이 계속 맴돌았다. 이 소설은 단순한 픽션이 아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벌어진 비극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그 참혹한 현실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처절한 몸부림을 기록하고 있다. 한강 작가는 결코 직접적인 묘사나 외침으로 이 사건을 다루지 않는다. 대신 인물들의 내면, 말하지 못한 목소리들, 그 안에서 파괴되고도 다시 살아가려는 흔적들을 섬세하게 퍼올린다.

죽음을 지켜본 자, 기억의 증인이 되다
소설의 시작은 열다섯 소년 ‘동호’의 시선으로 열리며 독자를 곧바로 참혹한 현장으로 끌어들인다. 도청에 남아 시신을 수습하고, 누군가의 죽음을 기억해야 했던 소년. 그는 소설 내내 살아있는 이들보다 죽은 자들을 더 오래 곁에 둔다. 이 소년은 누구의 동생일 수도 있고, 내 아이였을 수도 있다. 그 보편성은 곧 우리 모두를 광주의 한복판에 서게 만든다.
작가는 각 장마다 화자를 바꾸며, 사건의 중심과 주변을 오가며 목소리를 전달한다. 살아남은 자, 죄책감을 가진 자, 고문당한 자, 침묵을 강요당한 자. 그들의 언어는 절제되어 있고, 때로는 무기력하지만, 그렇기에 더욱 강렬하다. 가장 비통한 감정은 말로 다 표현되지 않는 법이다.
고통을 넘어, 살아있음의 의미
『소년이 온다』의 인물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고통을 견뎌낸다. 한 여인은 끔찍한 기억을 떠올리지 않기 위해 매일 성경을 읽고, 한 남자는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어떤 이는 아무 말 없이 병상에 누워 삶을 연명한다. 이들이 공유하는 것은 ‘기억’이라는 형벌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 기억을 통해 우리가 도달해야 할 메시지를 정교하게 직조한다. 바로 “누구도 잊혀져선 안 된다”는 것.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그날 죽어간 사람들의 목소리를 살아있는 우리가 대신해 전해야 한다는 윤리적 책임을 독자에게 전가하지 않는다. 다만 그 책임이 우리 안에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언젠가는 그것을 마주해야 한다고 조용히 이야기한다.
말하지 못한 역사, 문학이 대신한 증언
『소년이 온다』는 한국 현대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단지 문학적 성취 때문이 아니라,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역사적 진실과 그 진실을 대면하는 방식 때문이다. 이 소설은 다 읽은 후에도 한동안 가슴 한편을 무겁게 누른다. 그리고 어느 순간 그 무게가 질문으로 변한다. “나는 지금, 누구의 죽음을 잊고 살고 있었는가?”
워드프레스에서 이 책을 소개한다면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함께 언급할 수 있다: 광주 5·18, 한강 소설, 인간 존엄, 기억의 문학, 한국 현대사, 국가 폭력, 역사적 트라우마, 문학적 증언, 진실의 기록, 인권 소설.
이 책은 단순한 서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역사의 고통 앞에서 우리가 문학을 읽는 이유, 쓰는 이유, 그리고 기억하는 이유를 모두 다시금 되묻게 한다.
한강은 이 작품을 통해 ‘문학이 할 수 있는 가장 깊은 애도의 방식’을 완성해냈다.